목록전체 (303)
처음부터 차근차근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rFs7s/btrjCBAYT2T/9hMZ4kUvEGYZ7dPbWjyoEk/img.png)
시스템 환경설정 상단 메뉴바의 애플 로고 버튼을 누른 후 시스템 환경 설정을 클릭하면 위의 이미지 처럼 시스템 환경 설정 탭이 열린다. Dock 환경 설정 Dock에 있는 검정색 선에 마우스 오른쪽 클릭한 후 Dock 환경설정 클릭하면 Dock환경 설정 탭이 열린다. Dock에다 앱 추가하는 방법 finder클릭 후 응용 프로그램 클릭한 다음 원하는 앱을 Dock에 드래그하면 된다. 단축키 한영 전환 : caps lock키, command+space, window key+space 원격 데스크톱에서는 ctrl + space 전체 화면 캡처 : cmd+shift+3 특정 부분 화면 캡처 : cmd+shift+4 원격 데스크톱에서 command키는 window 키와 같다. finder 열기 : cmd + n..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yqJGa/btrjD1FFgsW/3XTKRrbkKp61r6ClhAnZQK/img.png)
Mac과 Window의 차이점 Mac과 windows는 운영체제(OS)가 다르다. 근본적인 운영체제가 다르기 때문에 GUI와 기능에서 window와 mac은 큰 차이를 보인다. 첫 번째로, Mac에는 window랑 다르게 하단에 작업표시줄과 시작버튼 대신에 Dock이라는 길쭉한 프로그램 인터페이스가 있다. Dock은 자주 사용하는 앱이나 현재 사용 중인 앱을 표시해준다. 윈도우의 작업 표시줄처럼 앱을 고정해 둘 수 있고, 애니메이션 효과도 줄 수 있다. 두 번째로, Window는 상단 메뉴가 따로 없지만, mac에는 상단 메뉴가 있다. Mac의 상단 메뉴에 현재 실행 중인 프로그램(앱)을 보여준다. 상단 메뉴바에서는 현재 실행중인 프로그램을 제어하는 기능이 있어 프로그램의 환경설정이나 종료를 할 수 있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dikjnp/btrj4nJ6cUv/zi2vWo8DO6i7QomkKeMOmK/img.png)
IPv4 헤더 IPv4의 헤더는 Version, Header Length, Type of Service, Total Packet Length, identification, Flags, Fragmentation Offset, Time-to-live, Protocol, Header Checksum, Source IP Address, Destination IP Address, Options으로 구성되어 있다. Version은 4bit로 이루어져 있고, IP 프로토콜의 version을 의미한다. Header Length은 4bit로 이루어져 있고, 헤더의 길이를 의미한다. IPv4의 헤더 길이는 20 ~ 60바이트의 크기를 가지기 때문에 여기의 값에 4를 곱해주어야 한다. Type of Service는 8bit..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1SQPW/btrjPQruAZu/Kssg5sKIm5rxNE0e8Ky0jK/img.png)
reset의 종류 reset의 종류는 아래와 같다. soft mixed hard merge keep [no-]recurse-submodules git reset --help를 치면 볼 수 있다. 여기서 중요하고 자주 사용하는 세가지 종류에 대해서 살펴볼 것이다. soft mixed hard soft, mixed, hard reset git reset --soft : repository(원격 저장소)에 있는 내용만 reset된다. git reset --mixed : repository와 index(git add한 내용)에 있는 내용만 reset된다. git reset --hard : repository와 index, working directory(git add하지 않은 내용들) 모두 reset된다. 모드..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EFOZS/btrjQgKebD6/eURRYnSEggCX5cxt3G0YUk/img.png)
reset이란 reset을 한다는 것은 branch의 최신 commit을 바꾸는 것이다. 아래에 예시를 보자. 현재 git log이다. 두번 째 commit의 주소를 복사하여 두번 째 commit으로 hard reset을 해보았다. 이 상태에서 gistory를 보면 HEAD는 master branch를 가리키고 master branch는 최신 commit으로 두 번째 commit을 가지는 것을 알 수있다. 즉, reset을 한다는 것은 branch의 최신 commit을 바꾸는 행동이다. reset을 하면 reset된 commit은 사라질까? 답은 '아니다'이다. 위의 예시를 이어서 보자. 위 예시의 세번 째 commit은 사라지지 않았다. reset된 commit을 가지고 있는 파일은 총 두 개가 있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ZEDAZ/btrjPPZ6tZL/ZkAS9bmhvbNkUHKvYBObIK/img.png)
Debugging De(~를 제거) + bug(버그, 오류) Debugging이란, 애플리케이션의 error(bug)를 제거하는 것이다. log 디버깅에서 중요하게 사용되는 방법 중 하나이다. log란 CodeIgniter에서 제공하는 기능 중 하나로, 지금 웹 애플리케이션이 내부적으로 어떻게 흘러가는지, 변수 안에 어떤 값이 저장되어있는지, 어디서 오류가 났는지 등을 알 수 있다. logging 하는 법 log_threshold 값을 4로 바꿔 모든 메세지가 출력될 수 있도록 만든다. (다른 값을 넣어도 상관 없음) log_threshold의 값이 의미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0 = 로그 비활성화. 로그를 기록하지 않음. 1 = Error 메세지 기록. 2 = Debug 메세지 기록 (Error 메세지..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891BE/btrjIZ4dLUn/8qKHq6UHpj9r5PER0c8i2k/img.png)
CodeIgniter 설정 CodeIgniter에서 설정 파일을 수정하여 웹 애플리케이션의 기본 동작을 변경할 수 있다. CodeIgniter에서 설정 파일은 application / config 아래에 있다. 주요 설정 파일 config.php CodeIgniter에서 가장 기본적인 설정파일이다. CodeIgniter 기본 동작 방식에 대하여 설정할 수 있다. database.php database 관련 설정 파일이다. db에 접속할 때 필요한 정보들이 담겨있고, 보안이 매우 중요한 파일이다. autoload.php 라이브러리를 로드하는 파일이다. 여기에 라이브러리를 미리 로드해놓으면 웹 애플리케이션이 처음 동작됨과 동시에 라이브러리가 같이 로드된다. 때문에 라이브러리를 사용할 때 라이브러리를 직접 로..
스케줄링 스케줄링이란, 어떤 프로세스가 어떤 우선순위로 CPU를 얼만큼 사용할 것인지 결정하고 수행하는 과정이다. 스케줄링의 목적 모든 프로세스들에게 CPU를 공평하게 배정하기 위해서 (공평성) 단위 시간당 일을 최대한 많이 처리하기 위해서 (처리율을 극대화시키기 위함) 수행해야하는 일에 대해 빠른 응답을 하기 위해서 * 오버헤드를 최소화하기 위해서 프로세스 무한대기를 최소화하기 위해서(교착상태Deadlock) * 오버헤드 : 어떤 일을 수행하기 하기 위해 들어가는 처리 시간이나 메모리 스케줄링의 종류 선점형(Preemptive) 프로세스가 점유한 CPU를 다른 프로세스가 빼앗을 수 있다. 대화형, 시간 분할, 실시간 시스템에서 쓰인다. 대표적으로 RR(Round Robin), SRT(Shortest 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