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정보처리산업기사 (7)
처음부터 차근차근
입력 단계의 검사 일괄 합계 검사 일괄 합계 검사(Batch Total Check, Sum Check, Total check)란, 특정 항목에 대하여 사용자가 수작업으로 계산한 결과와 입력 과정에서 계산을 통해 얻어진 결과 값이 같은 지 확인하는 검사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100 + 1이라는 계산을 수작업 계산하여 101이라는 값을 도출했다고 가정한다면 그 다음 컴퓨터로 100 + 1을 계산하여 수작업한 계산 값과 동일한지 검사한다. 순서 검사 순서 검사(Sequence Check)란, 입력된 데이터의 순서가 정해진 순서와 일치하는지 확인하는 검사이다. 예를 들어 입력된 데이터의 순서가 1, 3, 8, 9 인데 정해 놓은 순서가 1, 9, 3, 8이라면 입력된 데이터의 순서가 틀려 기 때문에 순서 검..
순서코드(Sequence Code) 코드화 대상 항목에 일정한 순서로 번호를 부여한 코드이다. 즉 1, 2, 3, 4...이렇게 번호를 부여한다. 이 코드는 단순해서 이해하기 쉽고, 새로 생긴 항목에 번호를 추가하기 용이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명확한 분류 기준이 없어 코드로 부터 얻을 수 있는 정보가 적고, 분류하기도 어렵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중간에 자료를 삽입하기도 어렵다. 예시 : 대기 번호(은행, 식당, 병원...등) 대기번호 001번, 대기번호 002번 구분 코드(Block Code) 공통적인 특징이 있는 것끼리 블록으로 구분하고, 각 블록에 번호를 부여한 코드이다. 공통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는 것끼리 나눈 것이기 때문에 분류하기 쉽고, 데이터를 분류별로 찾기 편하다. 그리고 적..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dikjnp/btrj4nJ6cUv/zi2vWo8DO6i7QomkKeMOmK/img.png)
IPv4 헤더 IPv4의 헤더는 Version, Header Length, Type of Service, Total Packet Length, identification, Flags, Fragmentation Offset, Time-to-live, Protocol, Header Checksum, Source IP Address, Destination IP Address, Options으로 구성되어 있다. Version은 4bit로 이루어져 있고, IP 프로토콜의 version을 의미한다. Header Length은 4bit로 이루어져 있고, 헤더의 길이를 의미한다. IPv4의 헤더 길이는 20 ~ 60바이트의 크기를 가지기 때문에 여기의 값에 4를 곱해주어야 한다. Type of Service는 8bit..
스케줄링 스케줄링이란, 어떤 프로세스가 어떤 우선순위로 CPU를 얼만큼 사용할 것인지 결정하고 수행하는 과정이다. 스케줄링의 목적 모든 프로세스들에게 CPU를 공평하게 배정하기 위해서 (공평성) 단위 시간당 일을 최대한 많이 처리하기 위해서 (처리율을 극대화시키기 위함) 수행해야하는 일에 대해 빠른 응답을 하기 위해서 * 오버헤드를 최소화하기 위해서 프로세스 무한대기를 최소화하기 위해서(교착상태Deadlock) * 오버헤드 : 어떤 일을 수행하기 하기 위해 들어가는 처리 시간이나 메모리 스케줄링의 종류 선점형(Preemptive) 프로세스가 점유한 CPU를 다른 프로세스가 빼앗을 수 있다. 대화형, 시간 분할, 실시간 시스템에서 쓰인다. 대표적으로 RR(Round Robin), SRT(Shortest R..
운영체제(OS) 하드웨어를 제어하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자원(프로세서, 기억장치, 파일 및 정보, 네트워크 및 보안) 등을 관리한다. 펌웨어 ROM에 기록된 하드웨어를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그램의 집합이다.* 마이크로프로그램 : ROM에 기록된 펌웨어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특징을 모두 가지고 있다.프로그램이라는 관점에서는 소프트웨어 이지만, 하드웨어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운영체제의 목적 컴퓨터의 처리량과 신뢰성을 최대화하기 위함이다. 응용 소프트웨어의 반환 시간(Return Time), 응답 시간(Response Time), 대기 시간(Waiting Time), 경과 시간(Duration)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사용자와 컴퓨터 시스템과 사이의 인터페이스..
1. 명령어 파일 속성 출력 명령어 ① ls : 지정한 경로에 대한 파일들의 속성을 출력하는 명령어(경로를 쓰지 않으면 현재 위치) 형식 : ls -a(--all) : 숨겨진 파일, 디렉토리까지 출력 ex) ls -a -l(long) : 파일, 디렉토리의 상세정보까지 출력 ex) ls -l -i : 파일의 i-node의 값 출력 ex) ls -i -R : 하위 디렉토리 안의 모든 파일 출력 ex) ls -R 예시) drwxr-xr-x 2 kali kali 4050 May 25 06:30 testDir d : 파일의 종류 (- : 일반 파일, d : 디렉토리, b : 블록 장치 특수 파일, c : 문자 장치 특수 파일, l : 기호적 링크, p : 파이프, s : 소켓) rwxr-xr-x : 권한 3개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