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303)
처음부터 차근차근
1. source -> generate getter setter...클릭 2. getter, setter만들고 싶은 변수들 클릭 3. generate 클릭 끝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d1ZDvs/btre34NB98F/lZOkGvGTBxeVQBkFX0inUK/img.png)
Eclipse로 첫 Spring 프로젝트를 만들어 보자. 그 전에 Maven과 STS를 미리 다운을 받는다. -> 2021.09.10 - [개발도구/Eclipse] - Maven과 STS 1. package Explorer 창에 마우스 오른쪽 클릭 new -> Spring Legacy Project클릭 2. 프로젝트 명을 기입하고, Spring MVC Project를 클릭한 후 next를 누른다. 3. 만들 패키지 명을 적는다. * 되도록 패키지는 3개 이상으로 하는게 좋다. ex) com.mypac.first 4. Finish를 누른다. 프로젝트 구조(=Maven 프로젝트 구조) Maven Dependencies에 들어가보면 Maven에 의해 자동으로 다운받아진 스프링 관련 라이브러리가 있다. 그리고 ..
주의할 점! iOS의 스펠링 Objective-C 스펠링 Swift, SwiftUI 스펠링 데이터 타입 - Bool - Character - Int - Float - Double - String - Void (함수 반환형식 없을 때) 변수와 상수 상수(variable) : 한번 값을 할당하면 다시는 값을 할당할 수 없다. 변수(constant) : 값을 초기화해도 값을 바꾸고 싶으면 값을 대입할 수 있다. 변수와 상수 선언 예 // 변수나 상수를 선언할 때는 타입 어노테이션을 써서 데이터 타입을 명시해야한다. var variableTest : Int // 변수 선언 let constantTest : Int // 상수 선언 변수와 상수 초기화 예 // 상수 초기화 let number1 = 10 // .....
마이바티스란 데이터베이스 연동 프레임워크이다. 웹 애플리케이션의 규모가 작을 때는 jdbc로 개발해도 충분했지만 규모가 커질 수록 중복되는 코드도 너무 많아지고, 복잡해진다.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 나온 프레임워크가 마이바티스이다. 마이바티스를 사용하면 jdbc사용했던 것과 같이 connection, PrepareStatement 변수들을 따로 선언하지 않아도 된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nJVlH/btreJhnW0c7/YrYTldaJmUcdfP73nfZBuK/img.png)
Maven Maven이란 Spring 라이브러리를 자동으로 관리해주는 프로그램이다. 원래는 lib파일에 Spring사용할 때 마다 필요한 파일(jar파일)들을 하나하나 수동으로 넣어줘야하는데, Maven을 사용하면 그렇게 하지 않아도 된다. 필요한 파일들을 추가해주고, 그 파일을 실행할때 필요한 부수적인 파일(Dependency자원)들도 알아서 추가해준다. Spring으로 프로그램을 만들 때 개발을 훨씬 더 편리하게 해준다. + 그리고 프로젝트 빌드를 수행하는 역할을 한다(Maven은 오픈 소스 빌드 툴임). 1. maven.apache.org접속하고 Download클릭 2. apache-maven-3.8.2-bin.zip 다운로드후 압축풀기(버전은 다를 수 있음) 3. apache-maven-3.8.2..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S7AuD/btrd7TzYHcs/PYW0R4AmveKmDFIFBqCKY0/img.png)
웹 애플리케이션 모델 웹 애플리케이션 모델이란, 웹 애플리케이션의 표준화된 소스 구조이다. 즉, 웹 애플리케이션 만들 때 미리 정해놓은 개발 방식이라는 뜻이다. 어떤 일을 할 때 기존의 방법이 있듯이 개발 방식에도 그런 방법이 있다. 웹 애플리케이션 모델은 크게 2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모델1, 모델2이다. 모델1 방식 모델1 방식은 비즈니스 로직 처리 부분와 화면 부분을 모두 jsp가 담당하는 것을 말한다. 그림으로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이렇게 하면 로직처리 부분과 화면 부분이 섞여서 코드가 복잡해지고, 유지보수가 힘들어진다. 이 점을 보완한 것이 모델2 방식이다. 모델2 방식 - MVC 패턴 모델2 방식은 대표적으로 MVC 패턴이 있다. MVC(Model-View-Controller)패턴이란 웹 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