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303)
처음부터 차근차근

chown() 파일이나 디렉토리의 소유권자를 변경할 때 사용하는 함수이다. chown [옵션] [소유권자] [파일or디렉토리] 소유권자는 이름 또는 숫자로도 입력이 가능하다. 소유권자 자리에 아래와 같이 입력해서 사용자와 그룹을 변경할 수 있다. '사용자명' 만 적으면 : 사용자를 변경한다는 뜻 '사용자명:그룹명' or '사용자명.그룹명' : 사용자와 그룹을 같이 변경한다는 뜻 ':그룹명' or '.그룹명' : 그룹을 변경한다는 뜻 옵션 자리에 들어가는 대표적인 옵션 -R, --recursive : 상위 디렉토리일 경우 하위 디렉토리나 하단 파일들까지 일괄 변경 실습 코드 #include #include #include #include #include #include extern char* optarg;..

lseek 파일 기술자를 이용하여 파일의 접근 위치를 주어진 값으로 이동하는 함수 코드 실행결과 ftell 현재 위치를 반환하는 함수 코드 실행결과 fseek 파일의 접근 위치를 주어진 값으로 이동하는 함수 FILE 구조체를 이용하는 고수준 접근 방식이다. 코드 실행결과 getcwd, getwd, get_current_dir_name 현재 작업중인 경로의 위치를 추출하는 함수들이다. getwd의 경우 내부 정적 공간을 사용한다. get_current_dir_name의 호출은 내부에서 동적 메모리 할당이 이루어진다. 코드 실행결과 chdir 현재 작업중인 경로를 파라미터로 들어온 경로로 이동하는 함수 코드 실행결과 opendir, closedir, readdir opendir(), fopendir() : ..

chmod() 지정한 파일명에 대하여 접근권한을 변경하는 함수 코드 결과 fchmod() 변경 파일 기술자를 사용해 지정한 파일 접근권한 변경하는 함수 코드 실행결과 코드2 실행결과2 stat(), lstat() 주어진 파일명(문자열)을 통해 상태정보를 추출하는 함수 stat()의 경우 링크 파일일 때 원본에 접근하고, lstat()는 stat()와는 달리 주어진 파일 자체 정보를 추출한다. 코드 실행결과 getopt() 옵션 및 설정 값 추출할 때 사용하는 함수 반복 호출하는 방식으로 이용된다. 코드 실행결과 출처 : 운영체제(21-1학기)김병국교수 강의 내용 변형 및 요약

고수준 파일처리 기법 고수준 파일처리 기법이란, FILE 구조체를 통하여 파일을 접근하는 방식이다. 대표적인 파일 처리 시스템 함수 fopen() 파일 및 장치 접근할 때 사용하는 함수 함수 프로토타입 #include FILE *fopen(const char *pathname, const char *mode); pathname : 접근할 파일 또는 장치명 mode : 접근 모드 결과값 성공 : file 구조체 포인터 실패 : null fclose() 파일 접근 해제할 때 사용하는 함수 함수 프로토타입 #include int fclose(FILE *stream); stream : 접근 해제할 FILE 포인터 결과값 성공 : 0 실패 : -1 fread() 파일 읽기 함수 지정한 파일 포인터에서 데이터 읽음..

폴링 기법 폴링 기법이란 이벤트 발생과 관계없이 일정 주기로 서버에서 내용을 받아오는 방식이다. CPU가 연결된 모든 주변장치에게 데이터 송수신을 위해 일정한 주기로 계속 상태를 묻는다. 즉, 동일 작업을 주기적으로 수행하기 때문에 잦은 데이터 송수신이 있는 주변장치의 접근에 유리하고, CPU의 부하를 발생시킬 수 있다. 코드 실행결과 인터럽트 기법 인터럽트란 사전적 의미로는 '끼어들다', '중단시키다'의 의미를 가졌다.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도중에 예기치 않은 상황이 발생할 경우 현재 실행중인 작업을 중단하고 발생된 상황을 처리한 후 다시 실행중인 작업으로 복귀하는 것을 인터럽트라고 한다. 문제가 발생했을 때 주변 장치에서 CPU한테 여기 문제생겼다고 알리는 것과 같다. 폴링 기법과는 다르게 CPU가 필..

OST 디자인을 참고하여 액세서리 쇼핑몰 참고한 ost 사이트 : https://ost.elandmall.com/main/initMain.action 2학년 2학기 PHP쇼핑몰실무 과목에서 만든 개별프로젝트 제작 기간 : 2021-03-01~2021-06-18 사용 : Linux, MariaDB, PHP, phpMyAdmin, EditPlus 설명 : PHP를 이용한 악세사리 쇼핑몰 - 관리자 화면 구현 : 회원관리, 제품관리, 주문관리 - 장바구니 시스템 구현 - 제품 정렬, 검색 기능 구현 - CSS와 JavaScript를 사용해 이미지 애니메이션 구현 - 새 상품 랜덤으로 순서 바뀌어 사용자 화면에 출력

웹 페이지를 둘러보면 작성 날짜를 '2022-01-01' 이런식으로 나타내지 않고 '몇 분 전', '몇 일 전' 이렇게 나타내는것을 볼 수 있다. 구현 코드 감사하게도 어떤 분이 미리 만들어 놓으신 코드가 있어서 가져와서 사용했다. 함수의 매개변수로는 '2022-01-01' 형식의 String을 넣으면 된다. public function get_date($datetime){ $time_lag = time() - strtotime($datetime); if($time_lag = 60 and $time_lag < 3600) { $posting_time = floor($time_lag/60)."분 전"; } elseif(..

개발을 하다가 conroller 부분에 계속 중복되는 코드가 생겨서 어떻게 처리해야될까 고민했었다. 그래서 아예 클래스를 새로 만들어서 중복되는 코드를 함수화 시켜서 넣고, 그 클래스를 상속받아 안에있는 함수를 꺼내서 쓰기로 했다. 라라벨에서 만든 컨트롤러는 'Contorller'라는 이름을 가진 컨트롤러를 상속한다. 그래서 이 컨트롤러(Conroller) 안에다 함수를 집어넣고 새로 만든 컨트롤러로 가서 함수를 사용하면된다. 예시를 통한 사용 방법 1. Controller에다 함수를 집어넣는다. class Controller extends BaseController { use AuthorizesRequests, DispatchesJobs, ValidatesRequests; public func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