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프로그래밍/JSP (14)
처음부터 차근차근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d1KDGf/btrqbEYsLLr/gWEBEC4EvluFsYjZzGAFxk/img.png)
servlet container servelt이 실행되면 서버의 메모리 공간에 올라가게 되는데 이 공간을 servlet container이라고 한다. servlet filter servlet이 실행되기 직전과 실행되고난 직후에 실행되는 class이다. 그래서 주로 모든 servlet에 공통적으로 넣어야할 내용이 있을 때 사용한다. 예시 : request.setCharacterEncoding("UTF-8"); servlet 실행되기 직전에 실행되어 이 서블릿이 실행될지 말지도 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인증이나 권한에 대한 일에도 사용된다. servlet filter 만드는 방법 src / 패키지 밑에 class 새로 만들기 servlet filter 연결하는 방법 web.xml 사용 annotation 사용..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dAy4LG/btrp669fVNy/WbZDx6sZUobugPssgjtGk1/img.png)
웹서버 -> 웹 브라우저(클라이언트)로 데이터 보낼 때 한글이 깨지는 유형 1. ??? 2. 궯뚧뺧꺓쓁 한글이 깨지는 이유 1번의 경우 : ??? 웹서버에서 클라이언트(웹 브라우저)로 데이터를 보낼 때 기본 인코딩 방식은 ISO-8859-1(주로 유럽에서 사용)이다. ISO-8859-1방식은 데이터를 1byte씩 나눠서 보낸다. 한글자당 2byte인 한글이 1byte로 나눠져서 보내지니 웹 브라우저에서 아예 무슨 문자인지 인식을 못하는 것이다. 해결 response.setCharacterEncoding("UTF-8"); 웹 서버에서 웹 브라우저로 데이터를 보낼 때의 방식을 utf-8 방식(한번에 2byte씩 보냄)으로 설정한다. 2번의 경우 : 궯뚧뺧꺓쓁 서버에서 UTF-8 인코딩 방식으로 클라이언트에 ..
tomcat 서버 실행 apache-tomcat-9.0.48(tomcat 파일)\bin\start.bat을 클릭하면 tomcat 서버가 실행된다. 웹문서 보는 방법 apache-tomcat-9.0.48(tomcat 파일)\webapps\ROOT 이 경로 안에다 파일을 넣고(예를 들어 jsp 파일) url 경로에 localhost:8080/아까넣은파일명 이라고 치면 화면에 파일이 잘 뜨게 된다. context 사이트 추가 context 사이트를 추가하는 이유는 url매핑을 원하는대로 바꾸기 위해서이다. 기본적으로 url로 치고 들어갈려면 Root 디렉토리 안에 파일이 있어야하는데 파일을 Root디렉토리 아래다 놓는게 아니라 다른데다 놓고 url을 치고 들어가려면 context 파일을 따로 지정해줘야한다.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enPBDi/btrp5zEMV0a/GDynCgtluSStEDuwrr13Mk/img.png)
Servlet이란 Servlet은 Server Application let(서버 애플리케이션 조각)의 준말이다. 서버 애플리케이션은 여러 개를 한 번에 다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한 번에 다 로드할 필요가 없고, 서버 어플리케이션을 기능별로 나눠서 요청된것만 하나씩 매핑한다. servlet이 요청되는 원리 웹 브라우저(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에서 url로 요청을 하면 웹 서버에서 url과 매핑되는 servlet을 찾아서 실행시켜준다. 실행된 servlet에서 요청에 맞는 일을 수행하고 결과를 반환한다. servlet의 기본 형태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x.servlet.ServletException; import javax.servlet.http.HttpSer..
cs 프로그램 CS 프로그램이란 클라이언트, 서버 프로그램이다. 과거 웹을 사용하지 않는 CS 프로그램은 서버 프로그램 쪽의 내용이 업데이트 된다면 클라이언트 프로그램 쪽의 소프트웨어도 업데이트 즉, 프로그램 재설치를 해야했었다. 그리고 재설치 받는 과정에서 다른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위험이 있을 수 있었다. 이러한 번거로움과 단점 때문에 웹 브라우저를 이용한 cs 프로그램을 이용하게 되었다. 웹 브라우저를 사용하여 서버 측에 데이터를 요청하고, 서버 측에서 그 요청받은 데이터를 반환해서 웹 브라우저에 출력한다. 웹브라우저를 이용한 cs프로그램은 이러한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웹 브라우저에서 url로 어떠한 페이지를 요청하면 웹 서버에서 그 url에 맞는 웹문서(동적)..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S7AuD/btrd7TzYHcs/PYW0R4AmveKmDFIFBqCKY0/img.png)
웹 애플리케이션 모델 웹 애플리케이션 모델이란, 웹 애플리케이션의 표준화된 소스 구조이다. 즉, 웹 애플리케이션 만들 때 미리 정해놓은 개발 방식이라는 뜻이다. 어떤 일을 할 때 기존의 방법이 있듯이 개발 방식에도 그런 방법이 있다. 웹 애플리케이션 모델은 크게 2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모델1, 모델2이다. 모델1 방식 모델1 방식은 비즈니스 로직 처리 부분와 화면 부분을 모두 jsp가 담당하는 것을 말한다. 그림으로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이렇게 하면 로직처리 부분과 화면 부분이 섞여서 코드가 복잡해지고, 유지보수가 힘들어진다. 이 점을 보완한 것이 모델2 방식이다. 모델2 방식 - MVC 패턴 모델2 방식은 대표적으로 MVC 패턴이 있다. MVC(Model-View-Controller)패턴이란 웹 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