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부터 차근차근
Virtual Box 공유 폴더 만들기, 명령어 정리 본문
반응형
공유 폴더 만들기
1. kail linux를 키고 상단 바에 입력 -> 공유폴더 -> 공유폴더 설정
2. 임시 폴더 클릭하고 오른 쪽 파일 추가 아이콘 클릭
3. 이미지를 참고해서 입력
폴더 경로 : 공유 폴더로 만들 폴더 경로 지정
그러면 알아서 폴더 이름이 입력될 것이다.
마운트 지점 : linux에서의 공유 폴더 이름
이렇게 하면 window(내 컴퓨터)의 virtual_box \ example 폴더와
linux(virtual machine)의 /example 폴더가 연결되어 공유해서 쓸 수 있다!
4. 공유 폴더 접근 가능하게 만들기
공우 폴더를 설정해도 바로 접근할 수 는 없다.
kali 계정 group에 vboxsf 사용자 그룹이 추가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명령어를 쳐서 kali 계정에 vboxsf 그룹을 추가해준다.
sudo adduser kali vboxsf
+ 그룹 추가 됬는지 확인하는 명령어
id
5. 로그아웃하고 다시 로그인한다.
한 번 로그아웃하고 다시 로그인해야 비로소 공유파일에 접근할 수 있다.
명령어 정리
touch test.c
test.c 파일 만들기
gcc sleep.c -o sleep
sleep.c파일 sleep이라는 이름으로 컴파일
./sleep
컴파일한 sleep 파일 실행
top
프로세스 상태 보기
kill하는 방법 3가지
1. 실행중인 터미널에서 ctrl + c
2. PID(프로세스 ID)를 사용하여 중지
kill -9 [PID]
3. 프로세스 이름으로 kill
pgrep [processname]
ip address
ifconfig
ip 주소 나옴
route
라우트 정보 출력
netstat -옵션
네트워크 이용 상태 확인
서버 정상적으로 돌고 있는지
nslookup
host
도메인명으로 ip 주소 조회
whois
도메인 소유자 검색
출처 : 네트워크개론(22-1학기)김병국교수 강의 내용 변형 및 요약
반응형
'Linux & Unix' 카테고리의 다른 글
Unix 기본 시스템 함수 - getopt(), time(), localtime(), localtime_r(), ftime(), gettimeofday(), mktime(), 파일 기술자, bcopy() (0) | 2022.04.15 |
---|---|
파일 접근과 해제, 읽기, 쓰기, 접근 위치 이동, 생성, 삭제 (0) | 2022.04.07 |
라이브러리와 아카이브, 에러 처리 (0) | 2022.03.01 |
RPC (0) | 2022.02.28 |
RC4와 AES, TELNET서버 구동, 로그 서비스 (0) | 2022.02.27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