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부터 차근차근
RC4와 AES, TELNET서버 구동, 로그 서비스 본문
RC4
RC4란 대칭 암호화 방식의 대표 알고리즘 중 하나이다.
* 대칭 암호화 방식
암호화하거나 복호화할 때 사용되는 키가 동일한 암호화 방식.
(이때의 키를 공개키(public key)라고 함)
그리고 RC4는 스트림 암호 종류 중 하나이다.
주로 4 계층 보안 TLS,SSL , WEB 등 프로토콜에 사용되었었는데
현재는 취약점이 발견되어 권장되지 않고있다.
rc4 실습 코드
실행결과
AES
= Advanced Encryption Standard
AES란 NIST에서 개발한 대칭형 암호화 알고리즘이다.
암호화를 위해 128, 192, 256 비트의 키를 지원하고,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암호화 알고리즘이다.
AES 함수
AES_cfb128_encrypt()
실습코드
실행결과
TELNET서버
텔넷 서버는 오래전부터 전통적으로 사용되어 온 원격 접속 방법이다.
보안에 취약하다는 단점이 있다.
TELNET서버 설정
구동(자동 실행)
로그 서비스
로그란 수집된 이벤트 상태정보를 파일에 기록하는 서버 프로그램이다.
대표적인 기록 파일로 / var / log / syslog 가 있다.
로그 서비스 동작 및 확인
로그 서비스 설정
코드로 로그 출력하기
로그를 출력하는 함수
syslog()
#include <syslog.h>
void syslog(int priority, const char *format, ...);
priority : 로그의 중요도를 표시. 'syslog.h'에 priority들이 정의되어 있다.
필자는 아래 실습에서 debug 메세지를 출력하고 싶어서 LOG_DEBUG를 선택했다.
format : 포맷을 설정하는 파라미터. 실제로 넣어줄 로그의 내용이 들어간다
실습코드
실행결과
로그인 기록 보기
last : 최근 접속자들에 대한 정보를 표시
lastb : 접속 실패에 대한 정보를 표시
lastlog : 모든 접속시도에 대한 정보를 표시
출처 : 운영체제(21-1학기)김병국교수 강의 내용 변형 및 요약
'Linux & Unix' 카테고리의 다른 글
라이브러리와 아카이브, 에러 처리 (0) | 2022.03.01 |
---|---|
RPC (0) | 2022.02.28 |
프로세스 제어와 제한, 우선순위, 암호화 (0) | 2022.02.26 |
chown() (0) | 2022.02.25 |
lseek, ftell, fseek, getcwd, getwd, get_current_dir_name, chdir, opendir, closedir, readdir, mkdir, rename, rmdir (0) | 2022.0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