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부터 차근차근
로컬에서 원격 저장소 만들기 본문
시작하기 전 git 명령어 모음...
git init 디렉토리이름
디렉토리를 만들고 그 안에 git init 실행
cd ..
부모 디렉터리로 이동
pwd
현재 경로 보기
rm -rf 디렉토리명
디렉토리 삭제할건지 묻지 않고 바로 삭제
git commit --amend
최신 commit 내용 수정하기
주의 : 원격 저장소에 push하기 전에 해야함!
로컬에서 원격 저장소 만들기
git init --bare 디렉토리이름
bare : 벌거벗은
디렉토리를 새로 만들어서 그 디렉토리를 원격 저장소로 만드는 명령어이다.
--bare로 만든 디렉토리는 작업을 할 수 없고, 오직 저장소의 기능만 한다.
예시)
HEAD ~ ref : 본래 .git 안에 들어있는 내용들이다.
오직 저장소의 기능만 하기 때문에 .git 내용이 그대로 이 디렉토리 안에 들어가있다.
원격 저장소 연결
git remote add origin 원격저장소경로
현재 작업하던 디렉토리로 가서 위의 명령을 치면 원격 저장소가 연결된다.
여기서 origin은 원격 저장소의 별명이라고 생각하면된다.
다른 별명을 지어줘도 되는데 특별하게 지을게 없으면 origin을 사용하는게 보편적이다.
git remote add origin 원격저장소경로
원격저장소를 추가한다. 원격저장소별명은 이것이고, 저장소 경로는 이것!
현재 연결되어있는 원격 저장소 확인하기
git remote -v
현재 연결되어있는 원격 저장소를 출력하는 명령어이다.
현재 연결되어있는 원격 저장소 연결 끊기
git remote remove origin
origin은 원격 저장소의 별명을 뜻한다.
그러므로 별명 대신 원격 저장소의 경로를 써도 된다.
이렇게 하면 원격 저장소는 사라지지 않고, 연결만 끊을 수 있다.
원격 저장소에 push하기
push는 원격 저장소에 내가 만든 commit을 업로드(올리는) 행위이다.
push를 처음할 때는 아래와 같은 코드를 먼저 입력해줘야한다.
(또는 git push라고 치면 아래의 코드를 쓰라고 git bash에서 알려주기 때문에 그 명령줄을 복붙해서 사용해도 됨)
git push --set-upstream origin master
현재 working directory의 master branch와 원격 저장소의 master branch를 연결하겠다는 의미이다.
이렇게 하면 내가 working directory에서 master branch로 push를 하면 알아서 원격저장소의 origin의 master branch로 push한다.
이렇게 push를 한 다음 원격 저장소로 가면 내가 commit했던 내용이 저장된 것을 볼 수 있다.
그 다음 부터는 git push만 써도 알아서 원격 저장소에 push가 된다.
git push
출처 : '지옥에서 온 Git - 생활코딩' 변형 및 요약
'G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ignore (0) | 2021.11.08 |
---|---|
github에서 원격 저장소 만들고 연결하기, push와 pull (0) | 2021.11.07 |
merge(branch) 충돌 원리와 3 way merge (0) | 2021.11.04 |
reset의 종류 (0) | 2021.10.29 |
reset 취소와 commit checkout (0) | 2021.10.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