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부터 차근차근
commit의 원리 본문
반응형
1. commit을 하면 object안에 commit 내용이 들어간다.(마치 파일 처럼)
그러므로 commit도 내부적으로는 객체(object)다.
<commit 내용>
1. 누가 커밋을 했는지
2. 커밋 메세지
3. tree
4. parent
2. tree에는 commit 한 당시의 작업 디렉토리의 전체 파일이 나와있다.
tree는 commit이 만들어진 시점의 *스냅샷을 가지고 있다고 표현하기도 한다.
*스냅샷 : 사진을 찍다. 즉, 과거 한 때의 작업 디렉토리 상태(tree의 내용!)
3. parent 에는 바로 전 commit이 담겨있다.
4. commit의 tree 내용은 commit마다 다르다.
5. 디렉토리는 tree로 commit된다.
testDir 디렉토리가 tree로 commit된 것을 알 수 있다.
+ object파일은 크게 3가지를 가지고 있음
1. blob(파일 내용)
2. commit
3. tree
+ 정리
tree : 커밋 당시 전체 파일
object : add(그 add한 하나만 가짐), commit
index : 현재 전체 파일
참고 : '지옥에서 온 git - 생활코딩' 변형 및 요약
반응형
'G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Branch 충돌 (0) | 2021.10.19 |
---|---|
branch의 원리와 git log의 원리 (0) | 2021.10.01 |
git add 원리 (0) | 2021.09.29 |
gistroy 설치 (0) | 2021.09.28 |
Fast-Forward와 stash (0) | 2021.09.27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