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부터 차근차근
시간 복잡도 정리 본문
반응형
시간 복잡도 유형
빅 오메가 : 최선일 때 연산 횟수
빅 세타 : 보통
빅 오 : 최악
--> 코딩 테스트에서의 시간 복잡도는 보통 빅 오를 사용한다.
연산 횟수 계산하는 법
* 제한 시간이 2초라면, 보통 2억번 이하의 연산 횟수로 문제를 해결해야 함
* 버블 정렬 시간 복잡도로 예를 들음
O(n^2) == 최대 연산 횟수^2
이런식으로 계산 했을때 제한 시간이 2초니까 최대 연산 횟수^2가 2억 번 이하면 됨
시간 복잡도 계산
* 상수는 시간복잡도 계산에서 제외
* 가장 많이 중첩된 반복문의 수행 횟수가 시간복잡도임
--> 그래서 2중 for문이 30개여도 시간 복잡도는 2중 for문 1개일 때랑 똑같음
반응형
'알고리즘' 카테고리의 다른 글
class2 - 1181번 단어 정렬 (자바) (0) | 2024.05.14 |
---|---|
내가 공부하려고 만든 알고리즘 입출력 코드 정리 (0) | 2024.01.03 |
정수 n개의 합 구하기 (1) | 2023.01.26 |
acm 호텔 문제 (0) | 2022.12.25 |
달팽이는 올라가고 싶다 - 문제풀이(수정 중) (0) | 2022.10.23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