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부터 차근차근
Servlet Filter 본문
반응형
servlet container
servelt이 실행되면 서버의 메모리 공간에 올라가게 되는데 이 공간을 servlet container이라고 한다.
servlet filter
servlet이 실행되기 직전과 실행되고난 직후에 실행되는 class이다.
그래서 주로 모든 servlet에 공통적으로 넣어야할 내용이 있을 때 사용한다.
예시 : request.setCharacterEncoding("UTF-8");
servlet 실행되기 직전에 실행되어 이 서블릿이 실행될지 말지도 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인증이나 권한에 대한 일에도 사용된다.
servlet filter 만드는 방법
src / 패키지 밑에 class 새로 만들기
servlet filter 연결하는 방법
- web.xml 사용
- annotation 사용
1. web.xml 사용
web.xml에 아래의 내용을 추가한다.
<filter>
<filter-name>ServletEncodingFilter</filter-name>
<filter-class>com.ksy.filter.ServletEncodingFilter</filter-class>
</filter>
<filter-mapping>
<filter-name>ServletEncodingFilter</filter-name>
<url-pattern>/*</url-pattern> // 모든 서블릿에 대해 적용
</filter-mapping>
2. annotation 사용
filter class 위에 이 annotation을 추가한다.
@WebFilter("/*")
괄호 안은 매핑될 주소를 의미한다.
Filter.doFilter
filter 실행이후 이 요청을 서블릿 실행으로 전이를 할지 말지 정하는 코드이다.
chain.doFilter(request, response);
이 코드를 넣으면 요청된 서블릿으로 가고, 넣지 않으면 가지 않는다.
그래서 이 코드는 filter 코드의 맨 마지막에 넣어야한다.
출처 : https://www.youtube.com/playlist?list=PLq8wAnVUcTFVOtENMsujSgtv2TOsMy8zd 변형 및 요약
반응형
'프로그래밍 > JSP' 카테고리의 다른 글
get과 post 나눠서 처리하는 방법과 forward와 redirect의 차이 (0) | 2022.01.05 |
---|---|
상태유지 방법 (0) | 2022.01.02 |
servlet 한글 깨짐과 쿼리스트링 (0) | 2021.12.31 |
tomcat server 에서 url을 통해 웹문서를 보는 방법과 context 사이트 추가 (0) | 2021.12.24 |
Servlet (0) | 2021.12.21 |
Comments